전세·월세 계약, 여기서 놓치면 골치 아픈 핵심 포인트 5가지
“자취방 구하기? 쉬운 줄 알았는데 왜 이렇게 복잡하지?”
사회초년생이 되면서 처음 독립을 시도하면, 전세나 월세 계약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문제에 부딪히기 십상이죠. 계약서에 도장 쾅 찍고 난 뒤에야 “내가 이걸 왜 몰랐지…” 하고 뒤늦게 후회할 수도 있습니다. 그래서 오늘은 전세·월세 계약 시 꼭 주의해야 할 5가지 핵심 포인트를 정리해봤어요. 몇 가지만 잘 챙겨도 큰 사고 없이 안락한 자취 라이프를 즐길 수 있을 거예요!
1. 계약 전, 등기부등본부터 꼭 확인하기
집주인(임대인)이 실제로 해당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지, 그리고 근저당이나 가압류 같은 권리 관계가 복잡하지 않은지를 보려면,
등기부등본을 떼어봐야 합니다.
• 공인중개사를 통해서 계약할 때도 반드시 본인이 직접 등기부등본을 확인해보세요.
• 만약 근저당권이 잔뜩 설정되어 있다면, 나중에 집이 경매로 넘어갈 위험이 커집니다.
• 최근에 갱신된 등기부등본인지(발급 후 1~2일 이내) 꼭 체크하세요!
꿀팁: 집주인 이름과 신분증, 등기부등본상의 이름이 일치하는지도 놓치면 안 돼요.
2. 계약금과 잔금 타이밍, 어떻게 나눌까?
처음 전세·월세 계약을 할 땐, 대부분 계약금(통상적으로 전체 보증금의 10%), 중도금, 잔금 순으로 돈을 지급하게 됩니다.
• 중도금을 언제, 얼만큼 낼지는 집주인과 합의가 필요해요.
• 잔금을 치르는 동시에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를 받는 게 중요한데, 이를 통해 대항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.
• 혹시 잔금을 너무 일찍 치르면, 전입신고를 못 한 상태로 위험을 떠안게 될 수 있어요.
팁: 잔금을 치른 뒤 바로 전입신고하고, 곧바로 확정일자를 받는 게 안전합니다.
3. 전입신고 & 확정일자, 자취생의 생명줄
집이 경매나 공매로 넘어가더라도, 전입신고(+ 점유), 확정일자가 있다면 우선변제권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.
• 전입신고는 잔금 낸 당일 혹은 다음 날 바로 해두는 게 좋아요.
• 확정일자는 동주민센터(행정복지센터)나 인터넷(정부24)으로도 받을 수 있어요.
• 이 두 가지가 없으면 보증금을 돌려받기가 어려울 수 있으니, 절대 미루지 마세요!
주의: 월세 계약이어도 전입신고하고 확정일자 받으면, 월세 보증금 보호에 유리합니다.
4. 특약사항, 서면으로 남겨야 안전
월세 관리비를 어떻게 분담할지, 에어컨·냉장고 등 옵션은 고장 났을 때 누가 수리할지 등 사소해 보이는 내용도 사실 굉장히 중요해요.
• 말로만 “수리해 줄게요” 했다가, 나중에 “그런 말 한 적 없다”며 발뺌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요.
• 계약서 마지막 부분에 특약사항 항목이 있으면, 꼼꼼히 기입하세요.
• 관리비 내역, 도배·장판 교체 의무, 퇴실 시 원상복구 범위 등을 적어두면 분쟁을 미리 막을 수 있습니다.
예시: “에어컨 고장 시 임대인이 수리비 전액 부담” / “도배는 2년에 한 번씩 임대인이 부담하여 교체” 등.
5. 월세·전세 대출 이용할 때, 서류 체크
요즘엔 청년 전세자금 대출, 중소기업 취업 청년 전세대출 등 신용에 따라 저금리로 보증금 마련이 가능한 상품이 많습니다.
• 해당 상품을 이용하려면 계약서에 ‘대출 실행’을 위한 특약을 넣거나,
은행에서 요구하는 서류(등기부등본, 확정일자 등)를 제대로 챙겨야 해요.
• 집주인이 대출을 꺼리는 경우도 있으니, 미리 양해를 구하고 계약에 임하세요.
• 대출을 받게 되면 이자 부담이 늘어나는 만큼, 계약 기간 중 꾸준히 재정 관리를 해야 합니다.
체크포인트: 보증금이 높아 대출 한도를 초과할 수도 있으므로, 은행 문의→집주인 협의 순으로 진행하면 안전해요.
전세·월세 계약이 처음인 사회초년생들은, 계약서 내용이 어렵게 느껴져서 대충 넘어가기 쉬워요.
하지만 등기부등본 확인부터 특약사항 작성까지, 한 번만 꼼꼼히 살펴보면 커다란 분쟁이나 보증금 손해를 막을 수 있습니다.
특히 전입신고+확정일자는 필수 중의 필수! 잔금 치르고 곧바로 진행하는 습관을 들이세요.
누구나 처음엔 낯설고 긴장되지만, 이렇게 핵심 포인트만 잘 챙기면 큰 문제 없이 안전한 자취 생활을 시작할 수 있을 거예요.
궁금한 점이 있거나 다른 꿀팁이 있다면, 댓글로 함께 나눠주세요. 안전하고 즐거운 내 집(월세집) 생활을 응원합니다!
• 궁금한 점은 언제든 댓글로!
• 유익하셨다면 구독도 부탁드립니다.